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나라장터

(5)
나라장터 낙찰업체(낙찰자) 확인하는 방법, G2B 25년 리뉴얼 안녕하세요 나라장터 포스팅은 오랜만이네요~나라장터가 1월 6일 리뉴얼됐습니다.제 블로그에 들어오신 분들의 검색 키워드를 보다 보니낙찰업체 확인 방법과 언제 개찰(낙찰자 선정)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좀 있더라고요. 리뉴얼된 사이트 기준으로 다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예전 사이트와 비교하면 이건 정말 혁명 수준입니다.새로운 시스템에 적응하는데 조금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 정도면 꽤나 깔끔하게 잘 정리한 듯합니다.조회 속도도 빠른 편이고 페이지 뒤로 가기도 잘 되네요~ 전에는 공고 페이지에서 물품 공사 용역 모든 조달 항목이 확인돼서 불필요한 화면이 많았었죠;; 낙찰업체 확인 방법 바로 설명해 드릴게요.먼저 입찰 공고 목록에서 입찰 마감 일시가 지난 아무 공고나 들어갑니다. 25년 2월 8..
나라장터(G2B) 물품목록번호 물품분류번호(물품식별번호) 확인 방법, G2B 25년 리뉴얼 안녕하세요2025년 1월 6일, **나라장터(G2B)**가 새롭게 리뉴얼되었습니다. 공공조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나라장터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필수적인 플랫폼인데요, 이번 리뉴얼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리뉴얼된 나라장터에서 물품목록번호(또는 물품분류번호, 물품식별번호)를 확인하는 방법과 상품 등록 팁을 빠르고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나라장터 메인 페이지에서 물품목록번호 확인하기]리뉴얼 전에도 물품목록번호는 목록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리뉴얼된 나라장터에서는 메인 페이지에서 바로 접근이 가능해졌습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가며 확인해 보세요. 1. 나라장터 메인 페이지 접속먼저 나라장터(G2B) 메인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화면 오른쪽 하단을 보면 관..
나라장터(G2B) 공고 입찰(개찰) 결과 보는 방법 - [ 개찰 & 낙찰 결과 ]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라장터 통한 입찰 진행 후 개찰결과 확인하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내가 참여한 입찰이라면 수요기관명 또는 공고기관명 또는 공고번호 또는 공고명에 대한 정보가 있으실 겁니다. 개찰마감 이후에 약 3시간 지나서, 공고 상세 페이지를 들어가면 어느 업체가 낙찰받았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보통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공고페이지 링크를 따로 저장해두시는 분들도 있으실겁니다. 그런 작업을 하지 않으셨다면 내가 알고 있는 공고번호, 공고(수요)기관명, 공고명 등을 아시는 대로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시면 됩니다. 저는 예시로 보여드리기 위해 수요기관명에 '서울' 로 검색 해봤습니다. 수요기관 이름 중 '서울'이 포함된 모든 공고가 공고일 순으로 뜨기때문에 아주 많은 입찰이 검색된 결과를 볼 수 있..
나라장터 (G2B) 수요기관코드 쉽게 찾는 방법 - [ 수요기관명, 수요기관코드 ]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공서 계약 시 나라장터에서 [수요기관코드] 또는 [수요기관명]를 쉽게 찾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나라장터] 서비스란 조달업무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전자조달서비스입니다. 사업자가 관공서 계약시 나라장터 서비스 활용은 수의계약을 제외하고는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나라장터 서비스 활용 시에 나라장터 시스템에서는 [수요기관코드] (= 행정안전부에서 부여한 행정표준기관코드, 숫자 7자리) 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수요기관코드]는 사업자 간 계약 시 사용하는 [사업자등록번호] 와는 별개의 나라장터(G2B)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번호입니다. 만약, 관공서의 [고유번호(사업자번호와 비슷한 개념)]가 필요하신 경우 [고유번호증] 사본을 계약 담당 ..
나라장터(G2B) 물품목록번호 쉽게 찾는 방법 - [물품분류번호 + 물품식별번호]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공서 계약에 필수적인 물품목록번호(물품분류번호와 물품식별번호)를 쉽고 빠르게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나라장터(G2B)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은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나라장터(G2B)란 무엇인가요? 나라장터(G2B)는 정부가 운영하는 전자조달 시스템으로, 관공서와 사업자 간의 계약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2000년대 초반 도입된 이후, 조달청 방문 없이도 PC에서 간단히 로그인(지문인증 포함)하여 입찰부터 계약까지 진행할 수 있게 되었죠.  즉, 입찰공고 주체인 [관공서 또는 출연기관 등] 와 입찰 참여 주체인 [중소기업] 간에서비스 [물품, 공사, 용역, 리스, 외자, 비축, 기타, 민간] 계약을 위한 보증,..